수행직무
- 화학분석 기사란?
- 화학 분석은 정성분석과 정량 분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때 얻은 자료를 종합 평가하여 결과를 보고 하고 자료를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최근 분석 화학의 특징은 첫째. 분석 대상의 미량화 이다. 나노화학(Nano chemistry)에서 펨토 화학(Femto chemistry)으로 발전하고, 둘째 주요국가 기관에서 필수적인 역할이다. 즉 전통적인 습식 방법을 활용하는 “wet chemistry"가 그 전문성과 정확성 및 데이터 해석의 객관성, 타당성으로 인해 국가 검증기관과 연구 기관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셋째 물리적 기술의 도입이다. 기기 분석의 발전으로 화학 반응보다 물리적 성질을 이용한 분석이 눈부시게 발전하여 화학 분석과 물리적 분석의 큰 줄기를 형성시켜 놓고 있다. 이처럼 분석화학 및 기기분석 분야의 제반 환경의 발전을 위한 전문지식과 기술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직무내용
- 화학관련 산업제품이나 의약품, 식품, 소재등의 개발, 제조, 검사를 함에 있어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원재료나 제품등의 화학성분의 조성과 함량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계획수립, 분석항목을 측정하고 자료를 분석, 종합 평가하여 결과의 보고 및 자료의 종합관리와 새로운 분석기업을 조사 개발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취업분야
- 기술직 공무원
- 천연자원의 고갈에 따른 신소재 개발 회사
- 제약ㆍ화장품ㆍ비누ㆍ식품회사
- 고무ㆍ화학제품을 제조 취급하는 회사
- 세라믹ㆍ특수강화플라스틱제조 회사
- 염료ㆍ페인트 제조회사
- 농약ㆍ비료 제조회사
- 연구실, 실험실, 연구소, 에너지 분석실 및 물질의 정성ㆍ정량 분석실
- 오수처리 시설업체, 정유회사 실험실
- 병원 실험실
- 군무원 - 국방부, 육ㆍ해ㆍ공군
- 식품의약품 안전처 공무원
- 해양 경찰청 공무원
전망
화학 산업의 계속적인 발전과 팽창이 예상되기 때문에 꾸준히 기술인력을 확보하여야 하는 입장이다. 제약, 화장품, 반도체, 화학제품을 제조ㆍ취급, 염료ㆍ페인트, 농약ㆍ비료, 정유회사, 병원, 식품의약품 안전처 연구실, 실험실의 연구요원이 부족한 현실이다. 그러므로 자격취득을 한 이후에는 기술관리인으로서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